본문 바로가기

GJFEZ 광주경제자유구역청

검색하기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

주요 추진사업

에너지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에너지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이미지입니다.
  1. 창업보육공간 23개
  2. 오픈랩 2개
  3. 공동팩토리 시제품
  4. 특화기업 육성
에너지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에너지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의 설립기간, 설립목적, 사업규모, 특징, 주요기능을 나타내는 표 입니다.
설립기간
  • 2020. 1 ~ 2023. 5. (운영 `23. 5 ~)
설립목적
  • 융복합단지 지정 후 중점산업, 특화기업 육성 지원
사업규모
  • 227억원(국비 80억원, 시비 147억원)
특징
  • 에너지자립율 100%이상인 제로에너지 건축물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실내루버형 집광채광 등)
주요기능
  • [연구개발지원]

    시제품 공동팩토리 구축, 운영LIVING Lab 기반 산학연 R&D 지원

  • [기업성장지원]

    개방형 Open Lab, 시제품 제작시운전, 실증 및 인증관리 등

비전과 전략
비 전
기술, 사람, 문화가 공존하는
창의혁신기반 선순환 에너지산업 융복합생태단지 조성
사업목표
융복합 단지내 "신기술 + 제품 + 서비스실증"기반 구축
에너지산업 융복합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원스톰 기업 지원 플랫폼 구축
추진전략
  • 육성정책
    기획과 조정
  • 역할분담
    선택과 집중
  • 혁신인프라
    집적화
주요사업내용
  • 정책기획·조정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조성계획 수립, 기초자료 관리

    • 에너지 중점산업 지정 및 지원계획 수립

  • 연구개발 지원
    • 시제품 공동 팩토리(Fab Lab) 구축 및 운영

    • Living Lab 기반 산학연 공동 R&D 지원

  • 기업성장 지원
    • 에너지 특화기업 창업 지원 및 기업유치

    • 기업성장지원 원스톱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인력양성 및 네트워킹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공동훈련센터 구축 및 운영

    •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개방형 네트워킹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건축계획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건축계획의 층수, 건축용도, 면적[㎡], 주요시설을 나타내는 표 입니다.
층     수 건축용도 면적[㎡] 주요시설
4F 창업보육공간 539.10 에너지신산업 분야 창업보육 시설(11개)
지원시설 230.96 공동 팩토리(시제품 테스트) 시설 등
3F 창업보육공간 567 에너지신산업 분야 창업보육 시설(12개)
지원시설 146.74 회의/세미나실, 소형샤워실
지원시설 154.68 연구기관 개방형 Open Lab-2
2F 지원시설 306.28 기관사무실, 회의실, B-EMS실 등
지원시설 286.74 센터장실, 센터 사무실, 회의실 등
1F 지원시설 165.6 연구기관 개방형 Open Lab-1
지원시설 115.5 세제/특허/인사 원스톱지원 공간
편의시설 240.18 구내식당 등
B1 부대시설 703.18 전기실, 기계실, 주차장

주요 연구기관 및 기업현황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연구본부 이미지입니다.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연구본부

  • 설     립2020.07.06
  • 조직 및 인력1본부 4센터 1실
  • 스마트그리드
    연구본부(광주)
  • 운영관리실
  • 분산전력시스템
    연구센터
  • 전력변환시스템
    연구센터
  • 에너지신산업
    연구센터
  • 에너지플랫폼
    연구센터
내용
  • 1) 스마트그리드 산업육성을 위한 전력변환 시스템 기반 구축
  • 2) 전력변환 및 스마트 배전 핵심기술 개발
  • 3)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험·인증 지원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연구본부 기업지원사업 현황(`20년 기준)

기업지원사업 : 지역특화산업 경쟁력 강화 및 기술기반 기업 육성사업

  • / ’20.6 ~ ’20.12/ 지역내 에너지관련 기업 86개사
  • 지역 특화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 R&D추진, KERI 기업지원사업 활용을 통한 지역기업 사업 운영, KERI 구축장비 활용 교육 및 지원
한국전기연구원 광주분원 기업지원사업 현황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공동R&D, KERI Family,애로기술지원,기업방문상담,기술교류회개최,기업교육,장비활용지원 별 정보를 제공합니다.
공동R&D KERI Family 애로기술지원 기업방문상담 기술교류회개최 기업교육 장비활용지원
4개 3개사 3개사 22개사 86개사/3회 6회실시 86개사
한국전기연구원 시험인증사업 소개
한국전기연구원 시험인증사업 소개의 시험인증서비스, 대전력시험(High Power Testing), 고전압시험(High Voltage Testing)를 나타내는 표입니다.
시험인증서비스 대전력시험(High Power Testing) 고전압시험(High Voltage Testing)
  • 국내 유일의 중전기기 분야 KOLAS 국제공인 시험 및 검사기관
  • 한국제품인정기구 KAS 제품 인증기관
  • 이탈리아 안정기구 ACCREDIA 제품인증기관
  • IECEE CB인증 및 시험기관으로 인정
  • 세계단락시험협의체인 STL(Short-circuit Testing Liaison)의 정회원
  • 실제 사고 조건을 모의한 등가회로에서 차단기의 단락전류차단능력, 열적차단능력 및 성능을 검증하는 필수적 시험
  • 시험품목 : 가스 절연 금속 피복 개폐장치, 고압 차단기, 자동 개폐기(리클로저), 단로기 및 접지 스위치, 고압 스위치, 스위치-퓨즈조합 개폐기, 자동 구간개폐기, 고압 퓨즈, 전력용 변압기 등
  • 절연 성능의 효과를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완제품에 대한 성능 검증 및 인증을 통해 전기 제품의 안전을 확보하고 품질을 제고
  • 시험품목 : 가스 절연 금속 피복 개폐장치, 고압 차단기, 자동 개폐기(리클로저), 단로기 및 접지 스위치, 고압 스위치, 스위치-퓨즈조합 개폐기, 자동 구간개폐기, 고압 퓨즈, 전력용 변압기, 리액터, 금속 산화물 서지 피뢰기 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광주센터 이미지입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광주센터

  • 설     립2020.02.14
  • 설립목적치매 등 노인성 질환 및 치료물질 개발에 특화된 개방형 공동연구 시설
  • 내     용
    • 1) 나노이미징에서 개체 이미징까지 첨단분석장비 보유 및 분석지원서비스 제공
    • 2) 초고령화사회 노화 연구 및 산업지원, 노화연구 원천기술 개발
인셀(주) 이미지입니다.

인셀(주)

  • 설     립2004
  • 분     야독자적인 BMS 및 패키징 기술을 바탕으로 리튬배터리, ESS 생산 등
  • 주요생산품ESS(삼성SDI셀 기반), SP44 모듈, AGV 배터리, 군용배터리 등
  • 기업소개인셀은 2004년 설립된 광주지역 대표 ESS 및 리튬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해외 ESS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는 기업. 광주 남구 도시첨단산단 에너지밸리 신공장에 이전하여 스마트 팩토리 요소를 도입하고 자체 BMS 및 배터리 패키징 기술로 미국 신재생에너지시장 등을 개척중임
LS Electric 이미지입니다.

LS Electric

  • 설     립1974
  • 분     야스마트에너지, 전력, 자동화 산업, ICT, DC기술, 융복합솔루션 제공
  • 주요생산품스마트그리드 태양광모듈, 스마트그리드 ESS, 초고압직류송전시스템(HVDC) 등

스마트에너지 투자 인프라

광주광역시 산업지원
에너지 혁신기업 유치 통합 에너지신산업 생태계조성 이미지입니다.

AI-그린뉴딜과 연계한 선도적 에너지정책 추진 위해 에너지 혁신기업 유치 통한 에너지신산업 생태계 조성

  • 스마트그리드산업및 에너지저장(ESS) 관련 기업 80개 업무 MOU 체결
  •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운영 → 개방형오픈랩·시제품 공동팩토리지원
기술지원 및 창업인프라제공 이미지입니다.

스마트에너지산업 육성 위한 기술지원 및 창업인프라 제공

  • 한국전기연구원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험·인증 지원
  • (R&D) 국가혁신클러스터(에너지분야)를 통해 차세대 LVDC 시스템 개발 및 실증 추진
첨단3차산업단지, 빛그린산업단지, 평동3차산업단지, 에너지밸리(국가, 일반), 01. 본촌일반산단, 02. 송암일반산단, 03. 하남일반산단, 04. 소촌일반산단, 05. 소촌농공단지, 06. 평동1·2차 일반산단, 07. 첨단과학국가산단(1단계), 첨단과학국가산단(2단계), 08. R&D특구진곡일반산단, 09. 빛그린국가산단, 10. 평동3차 일반산단, 11. 도시첨단산업단지, 12. 에너지밸리일반산업단지, 13. R&D특구첨단3지구

국가혁신클러스터(에너지분야) 육성사업

  • 사업기간 2018.~ 2022.
  • 사업위치 광주 국가혁신융복합단지
    * 도시첨단, 에너지밸리, 빛그린, 첨단과학1‧2차, 진곡, 평동1‧2‧3차, 하남산단
  • 총사업비 19,602백만원
  • 사업내용
    • (R&D) 분산전원 연계 빌딩용 차세대 LVDC 시스템 개발 및 실증
    • (비R&D) 혁신플랫폼, 기업지원, 글로벌 연계, 네트워킹

융복합단지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관 TF운영

  • 구 성 에너지분야 산학연 전문가, 지자체, TP
  • 주요내용
    • (발전전략)

      에너지 산업 융복합단지 조성계획에 있는 발전전략을  세분화하고구체적인 실행방안 마련

    • (기업유치)

      기업유치방안 및 인센티브 지원 방안 발굴 및 실행방안 강구

    • (특화기업)

      특화기업 지정 기준 및 지원책 마련

    • (사업발굴)

      융복합산업단지 조기정착화 및 활성화를 위한 특화사업 발굴
      (R&D 및 비R&D, 공모사업 등)

    • (기 타)

      융복합단지 활성화와 관련 된 제반사항 등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 발굴사례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 사업 발굴사례의 분야, 발굴 과제를 나타내는 표 입니다.
분야 발굴 과제
스마트 산단
  • 1) AI기반 스마트팩토리 기술개발
  • 2) IoT 기반 스마트에너지산단 실증
  • 3) 산업단지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및 실증
  • 4) 에너지융복합단지 연계형 가상에너지 자율 제어 시스템 구축
가상발전소 & 분산전원 통합운영
  • 1) 빅데이터 기반 분산형전원 통합관제 시스템 개발
  • 2) 공공부문 미활용 분산자원 기반 공공형 VPP 시범사업
  • 3) 친환경 지능형 프리미엄 EV 충전사업 시범실증
분산전원
  • 1) 감압 분산발전 모듈개발
  • 2) 레독스 흐름전지 개발
에너지효율향상
  • 1) 마태양광열 융복합 모듈 빌딩외장재 개발
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 이미지 입니다. 자원보유자 발전 전력량 공급 발전 전력량 정산 신재생 에너지 VNM 사업자 공유 신재생 에너지 운영 발전량 소비량 분석 VNM 마켓 월간 입찰 일간 입찰 실시간 입찰 필요 전력량 입찰 낙찰 전력수용가 AMI 전력사용요금 과금 정산 요청 한국전력공사 소규모 중개거리 전력거래소 금융모델 신재생E시민펀드

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

  • 기간 `19. 10. ~ `23. 9.
  • 장소 실증단지(7개 단지, 6240세대)
  • 사업비 267억원(국 134, 시30, 민103)
  • 사업자 SK컨소시엄(SK, 한전, 현대차, 효성 등
  • 내용 그린요금제, 신재생 공유공동체, 이동형ESS, VPP거래, 빅데이터
차세대 AC/DC Hybrid 배전 네트워크 산업 생태계의 산학연 역할 공급자 : 시스템 외국기업 중소중견 대기업 연구기관 대학 부품소재 연구기관 대학 중소중견 외국 연구기관, 1차 수요자 해외 직류 송배전 사업 해외시장 공동컨소시업 해외 시장창출 운영사 한전 2차 수요자 슈퍼그리드 해외 기업 개인 정부 지자체 스마트그리드 신재생 에너지 ICT 산업 전자산업 정부 법제도 각종 위원회 기술교류 기술,인력 인력양성 기술, 시장 시장창출

차세대 AC/DC Hybrid 배전 네트워크 기술개발사업

  • 사업기간 2022 ~ 2028(7년)
  • 총사업비 3,000억원
  • 사업주관 (주관)산업통상자원부/ (전문기관)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사업목표 2030년 AC/DC 혼용 배전망 운영을 위한 MVDC핵심기술 확보
  • 사업내용
    • (중점1) AC/DC Hybrid 배전망 요소기기 개발
    • (중점2) AC/DC 운용기술 개발
    • (중점3) AC/DC Hybrid 배전망 테스트베드 구축

에너지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광주를 넘어 에너지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연계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허브!

클러스터 연계
  • 광주 9, 8.43㎢ : 에너지밸리Ⅰ·Ⅱ, 평동일반산단, 첨단과학산단 등
  • 전남 11, 10.49㎢ : 빛가람 혁신도시, 나주 혁신산단, 한전공대연구클러스터 등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

  • 중점산업 (공통) 스마트그리드, (광주) 에너지효율향상,
    (전남) 풍력
  • 발전방향
    • 기업 및 투자유치 정책과 연계한 융복합단지 집적화
    • 연구기반과 연계한 융복합단지 기술고도화 등
  • 기대효과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허브 도시 이미지 제고
    • (광주) 일자리 2,200명, 기업유치 110개, 생산유발표과 7,200억원
    • (광주전남) 일자리 6,577명, 기업유치 415개, 에너지 자립률 40%(‘25년)
  • 지정혜택 중점산업 연구개발 활성화, 중점산업간 교류·사업화, 경비 지원
    • 기반시설, 전문연구기관 비용, 전문인력 양성기관 비용 지원
    • 국제교류, 산학연 국제공동연구 등 사업시행
      및 지원
    • 특화기업 지정 및 세제·연구·개발, 우선구매 지원 등

에너지융복합단지란?

  • 정의 에너지산업*과 에너지연관산업**의 집적 및 융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조성된 지역 (법 제2조)
    • 국가적 육성이 필요한 에너지 중점산업
      (법 제13조) 분야의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 기술혁신·융복합의 거점이 되는 클러스터
  • 구성요소 에너지 특화기업*, 연구소, 대학, 지원기관을 비롯하여 에너지 공기업, 에너지 공급시설
    (발전소 등), 실증·시험시설 등으로 구성
    • 산·학·연이 개발한 기술·제품의 최종 수요처인 에너지 공기업 또는 공급시설 등을 포함하여, 집적효과 극대화 및 타 클러스터와 차별화
  • 조성방식 지자체별 특화산업과 연계한 에너지 중점산업*을 선정하고,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클러스터 생태계 조기 구축
    • 에너지 중점산업 : ① 태양광, ② 풍력,
      ③ 수소·연료전지, ④ 에너지 효율향상, ⑤ 석유, ⑥가스, ⑦ 스마트그리드, ⑧ 원자력, ⑨ 화력발전
에너지 신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3대 신재생 에너지원 융합, 에너지효율 향상, 차세대 스마트그리드 융복합
맞춤형 인재양성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사업
전남대학교 로고

전남대학교(에너지산업)

  • 에너지 ICT 분야에 특화된 융·복합 연구 교과과정
  • 에너지 산업분야 취약점,악성코드 분석 융합보안 테스트베드 구축
    • 한전 등과 협력한 발전, 공·배전상 보안이슈 해결 공동프로젝트 수행
    • 컨소시엄의 에너지 장비를 활용한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 운영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양성사업
  • 지역 에너지산업 선도할 수 있는 석 박사급 전문 인력 양성 + 산학연 인프라에 기반한 교과과정과 프로젝트 운영
    • 광주 TP : 기업연구·개발 사전기획과 시제품제작, 취업지원 협의회
    • 지자체 : 네트워크 고도화, 에너지 산학 공동프로젝트 기획
    • 참여기업 : 인턴십 연계 채용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2022. 개교 예정)
한전공대 연구, 차세대 에너지 그리드 : 차세대 송배전 기술 선도 무선전력전송, HVDC, 신재생E 연계 기술, 수소에너지 : 국가 3대 전략 투자분야 金주기 수소에너지 개발 (생산, 저장/운송, 활용), 에너지 기후 • 환경 : 난제 해결 및 인류 공헌 에너지 기후 및 환경기술 개발(미세먼지 및 CO2 저감/포집 기술 등), 에너지 신소재 : 첨단 핵심소재 국산화 에너지 기후 및 환경기술 개발(미세먼지 및 CO2 저감/포집 기술 등), 에너지 Al : 4차 산업혁명 주도 에너지 + ICT 융복합, 에너지절약 기술 개발 한전공대 연구, 차세대 에너지 그리드 : 차세대 송배전 기술 선도 무선전력전송, HVDC, 신재생E 연계 기술, 수소에너지 : 국가 3대 전략 투자분야 金주기 수소에너지 개발 (생산, 저장/운송, 활용), 에너지 기후 • 환경 : 난제 해결 및 인류 공헌 에너지 기후 및 환경기술 개발(미세먼지 및 CO2 저감/포집 기술 등), 에너지 신소재 : 첨단 핵심소재 국산화 에너지 기후 및 환경기술 개발(미세먼지 및 CO2 저감/포집 기술 등), 에너지 Al : 4차 산업혁명 주도 에너지 + ICT 융복합, 에너지절약 기술 개발
11개 연구, 지원, 교육기관 보유
연구기관
연구기관에 관한 표입니다. 연구기관명,주요활동 내용을 제공합니다.
한국전기연구원 광주분원 분산전력 및 전력변환 기술개발, 스마트배전시험·연구, 기업지원 등
  • 신재생에너지 관련 시험인증 지원, 지역전력망 시험설비 18종
한국광기술원 광융합산업 선도 및 기술개발 거점기관
  • 클린룸(광통신, LED 등 시험생산, 초정밀 가공), LED 및 광통신 성능시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 동력부품, 광LED 반도체융합분야 지역 특화산업 지원
  • 국내최초의 금형생산시설Try Out 센터개방, 30여개 공정실험실 개방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 스마트가전, 에너지, 전장, 공기산업 육성 지원
  • KOLAS(3.013에너지효율, 3.014 환경신뢰성) 시험지원
지원기관
지원기관에 관한 표입니다. 지원기관명,주요활동 내용을 제공합니다.
광주테크노파크 기술혁신 인프라구축 및 지원사업 추진
  • 기술지원(시제품 제작지원, 특허출원), 투자지원(IR자료 제작 지도)
한국광산업진흥회 광융합산업 연구개발과 성과의 보급 통한 광 관련 업계 유대 강화
  • 광산업 애로해소 원스톱서비스, 대정부 정책건의 확대 운영
광주디지털가전부품 개발지원센터 디지털 가전의 혁신을 위한 인프라제공 및 첨단기술지원
  •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지원, 연구개발(R&D) 인력양성
교육기관
교육기관에 관한 표입니다. 교육기관명,주요활동 내용을 제공합니다.
광주과학기술원 FLEX 에너지융합대학원, 차세대에너지연구소 운영
  • 교수1인당 논문 피인용수세계4위(QS 세계대학평가)
전남대학교 광전자융합기반 미래형에너지 선도기술 연구
조선대학교 신재생에너지와 고부가가치 연구를 위한 첨단에너지공학과 운영
  • 2020 네이처 인덱스 순위 1위(연구경쟁력 기준)
한국폴리텍대학광주캠퍼스 타 전공 및 융합공정실습이 가능한 융합실습지원센터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