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JFEZ 광주경제자유구역청

검색하기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

소개 및 현황

산업지구 개요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 조감도
  • 남구 대촌동 일원
  • Ⅰ 918천㎡   Ⅱ 486천㎡
  • Ⅰ ’16. ~ ’23.   Ⅱ ’15. ~ ’22.
  • Ⅰ 2,978억원   Ⅱ 1,332억원
  • Ⅰ 453천원/㎡   Ⅱ 411천원/㎡
  • Ⅰ 광주광역시   Ⅱ 국토교통부
  • 광주도시공사
    • Ⅰ - 전자부품, 전기장비, 기계, 자동차, 연구개발 등
    • Ⅱ - 연구개발, 전자부품, 전기장비, 기계 등

추진방향

한국전력 연계 에너지 융복합단지
한국전력과 연계한 전국 1호 에너지 산업 융복합단지
  • 에너지특화기업 육성·지원 컨트롤타워 “에너지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227억원
  • 광주형 그린뉴딜, 2045 에너지자립도시 실현을 선도하는 “에너지자립 100% 공공건축 시범 모델" 건축
  • 글로벌 스마트에너지 기업 LS Electric, 에너지특화기업 인셀 등 주요 에너지기업 유치
한국전기연구원
세계 3대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 한국전기연구원 개원
  • '15.~'22.(8년), 부지 49,587㎡, 742억원
  • 미래형 에너지 융복합 신기술 개발
  • 전력변환 및 스마트 배전 핵심기술 개발
  • 멀티터미널 직류배전 플랫폼 구축사업(3,000억원), 지자체 연계 국비발굴 사업
    (AI기반 스마트에너지, 디지털에너지 서비스 플랫폼) 추진
레독스흐름전지 시험·인증센터
차세대 고용량 배터리 레독스흐름전지 시험·인증센터
  • '19.~'22.(4년), 부지 10,000㎡, 250억원
  • 전력저장용 레독스 흐름전지(RFB) 글로벌 거점 선점
  • 대용량 차세대 이차전지산업 생태계 구축
  • RFB 시험인증 장비기술개발 및 전문인력양성
  • 부품·소재, 스택, 모듈, 시스템 등 전지 성능과 안전성 평가 19개 항목에 대한 44점의 장비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세계 유일의 에너지 특화 연구·창업 중심 대학
  • '22, 3월 개교
  • 정원규모 : 학부 400명, 대학원생 600명
  • 에너지 AI, 에너지 신소재 등 스마트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및 창업형 인재양성
  • 기술 5대분야 연구 : 에너지 AI, 에너지신소재, 수소에너지, 차세대그리드, 환경기후
전력공기업과 연계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
전라북도, 새만금 수상태양광(2.8GW), 서남해 해상풍력단지(2.4GW), 광주광역시,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RE100 통합 에너지그리드 산단, 직류배전, 전라남도, 영농형‧수상 태양광, 해상풍력단지(안마도, 신안)

"풍부한 호남권의 재생에너지입지 잠재력 바탕으로 전력공기업과 연계해 에너지 신산업육성!"

광주형 AI-그린뉴딜 비전발표에 따른 광주형 에너지 자립도시 추진!

공공기관 유휴부지와 도로(방음벽, 방음터널) 활용

태양광 사업 및 대체에너지 산업을 통해 2035 광주 RE 100 이행 및 2045 에너지 자립 도시 전환

문의처

광주경제자유구역청 에너지팀 : 062-613-6071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