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 첨단부품소재
- 광산업
- 디지털정보가전
- 연구개발
개발계획 개요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필요성
- 제조업 중심의 산업기반 구조 및 불리한 투자유치 제반여건으로 기존 산업시스템을 완전히 바꿀 혁명적 방안 필요
- 인공지능 국가전략('19.12월, 관계부처 합동) 수립을 통해 광주를 AI 집적단지로 조성 추진('20.~'25.)
- 광주 AI 융복합지구 등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여 지역 주력산업(에너지, 생체의료 등)과 인공지능의 융합이 촉진되는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해 글로벌 신산업 거점으로 육성
개발사업의 시행자 및 시행방법
- 시행자 : 광주광역시,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도시공사
- 시행방법 : 공영개발방식을 원칙으로 하되, 사업대상지역의 특성ㆍ기능을 고려하고 부동산 가격에 영향이 없을 경우 예외적으로 별도의 사업방식 선정
개발계획총괄표
지구별·단계별 시행계획
※ 각 지구별로 개발사업을 추진하여 2020~2025년까지 완공할 예정
사업지구 | 위 치 | 면적(㎢) | 준 공 | 유치업종 |
---|---|---|---|---|
4개 지구 | 4.360 | '20년 ~ '25년 | 4대업종 | |
미래형자동차산업지구 | 광주 광산구 삼거동 일원 | 1.845 | '20년 | 자동차 |
스마트에너지산업지구Ⅰ | 광주 남구 압촌동 일원 | 0.918 | '23년 | 에너지 |
스마트에너지산업지구Ⅱ | 광주 남구 압촌동 일원 | 0.486 | '22년 | 에너지 |
AI 융복합지구 | 광주 북구 오룡동 일원 | 1.111 | '25년 | AI |
미래형자동차산업지구

유치업종
스마트에너지산업지구 Ⅰ·Ⅱ

유치업종
Ⅰ
- 전자부품
- 전기장비
- 기계
- 자동차
- 연구개발 등
Ⅱ
- 연구개발
- 전자부품
- 전기장비
- 기계 등
AI융복합지구

유치업종
- 소프트웨어개발
- 연구기관
- 생체의료 등